여전히 긴장 상태인 두 업계 AI의 발전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는 업계는 미디어입니다. 인터넷에 떠돌아다니는 정보와 지식의 상당량은 이들이 제작해 제공하고, 또 재가공되어 만들어진 콘텐츠이죠. 소셜미디어가 생기기 전부터 쌓아온 아카이브도, 그 이후에 자신들의 수익을 보전하기 위해 만든 유료 구독제 뒤의 콘텐츠도 모두 인터넷 세상을 이루는 원천이 되었죠.
이런 미디어 업계는 빅테크의 소위 인터넷 혁신에 대한 트라우마가 남아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구글과 페이스북의 등장은 수익의 원천이었던 광고를 모두 앗아가는 공포스러운 결과를 가져왔고, 이들은 준비되지 않았던 디지털 전환과 고통스러운 구조조정을 겪어야 했죠. 뉴욕타임스와 같이 이제는 1000만 유료 구독자를 넘기면서 사업을 안정적으로 운영해 가는 기업도 생겼지만, 여전히 구글과 메타의 플랫폼 그리고 아마존을 비롯한 리테일 미디어가 인터넷을 지배한 가운데 어려운 시기가 퍼블리싱을 비롯한 미디어 업계에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세상의 정보를 그러모아 학습한 후 답변을 잘 물어만 보면 답변을 척척 해주는 AI의 등장은 또 다른 공포로 이들에게 다가오는 중입니다. 하지만 다행히도 디지털 시대를 예측하지 못했고, 어떤 파도가 몰려오는지 예측할 수 없어 그대로 수익을 빼앗기고 무기력했던 이전과는 달리 이번에는 비교적 일찍이 대응에 나선 상황으로 보입니다.
미디어 업계도 '테크'에 대한 공부가 되었고, 테크 기업에 필적하는 디지털 기반을 갖추기 시작했고, AI와 같은 새로운 기술의 임팩트를 분석하고 대응할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역량이 생겼습니다.* 물론 미지의 기술을 개발하고 세상에 내놓고 사용자들의 반응을 보면서 기술을 발전시키는 '혁신가'들 만큼은 아니지만 객관적으로 상황을 파악하고 그 임팩트를 가늠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에요. 그리고 그에 맞춰 선제적으로 자신들이 가진 자산인 콘텐츠와 데이터를 보호할 방법, 즉 자신들이 만든 정보와 지식이 담긴 콘텐츠를 무료로 AI 학습을 위해 내어주지 않게 되었습니다.
어떤 가치를 받아야 할까? 이번 악셀 슈프링어의 계약과 비슷한 내용의 계약은 계속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번 계약은 미디어 업계 전체가 고민 중이던 "AI 기업과의 협업을 통한 수익원은 무엇으로 해야 하나?"에 대한 한 가지 해답이 되기 때문이죠.
일단 질문은 두 가지입니다.
- 수십 년간 쌓아온 아카이브에 어떤 가치를 매겨야 할까?
- 새롭게 다가온 시대에 새로운 '저널리즘'을 만들어 가기 위해서는 지금 어떤 수익 파이프라인을 만들어 놓아야 할까?
현재 알려진 바로는 악셀 슈프링어의 계약이 과거 아카이브의 사용에 대해서는 일정 금액이 정해졌고, 새로운 콘텐츠의 지속 사용을 위해서는 연간 사용료를 지급받는 형식이라는 것입니다. 저작권이 있는 '오리지널한 콘텐츠'에 대해서는 AI 회사들도 정당한 가치를 지불해야 하고, 고품질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투자된 자원의 가치가 낮게 책정되어서는 안 된다는 나름의 기준이 선명해진 계약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이들이 만든 콘텐츠를 사용해 학습한 AI는 향후 수조 달러 혹은 그 이상의 새로운 산업을 만들며, 빅테크 기업들의 기존 질서도 바꿀 파급력이 있습니다. 그 가능성에 기반해 수십억 달러의 투자를 받는 AI 기업과 수십억 달러를 쏟아붓고 있는 테크 기업들은 자신들이 확보하는 원천 소스에 대가를 지불해야 하는 것이죠.
늘 상기되는 사례이지만, 구글과 페이스북의 제국은 수많은 콘텐츠 위에 세워졌습니다. 물론 이들 빅테크가 만든 혁신으로 인터넷 지형 전체가 바뀌었고, 새로운 산업과 기존의 산업도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기반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런 성장을 뒷받침한 건 인터넷의 사용자들이 웹을 돌아다니며 찾아 헤멘 콘텐츠가 창출한 광고 수익이기도 했죠. 한 산업의 수익이 새로운 산업으로 이동했고, 그 수익을 기반으로 새로운 산업을 키운 결과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AI 또한 한 산업이 창출하는 가치를 통째로 가져갈 잠재력을 지녔습니다. (물론 그 가치를 통째로 빼앗기는 상황이 오면 안된다고 생각하겠지만) 그 잠재력까지 고려해 자신들이 만든 콘텐츠의 가치를 평가하겠다는 것이 미디어 기업들의 입장이기도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