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P가 정확히 뭐길래?

[준의 테크 노트] AI 에이전트의 미래 쥔 MCP  

2025년 4월 9일 수요일
바로 지금 AI 업계에서 가장 많이 회자 되는 단어는 바로 "MCP(Model Context Protocol)"입니다. 지난 아티클인 애플의 시리 문제로 보는 시장에서도 짚은 이 개념은, AI 모델의 선두 주자 중 하나인 앤트로픽에서 만들었는데요. 

기본적으로 MCP는 'AI 에이전트'와 '데이터 원천'을 연결하는 공통의 기준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하면, AI 에이전트가 데이터 원천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이죠.

오늘 [준의 테크 노트]는 MCP란 정확히 무엇인지, 새로운 사업 모델을 찾아가는 AI 업계에서 지금 MCP가 왜 화두이고 중요한 지, 그리고 이런 MCP가 시장에 끼칠 영향에 대해 전해드립니다.

생소한 개념과 원리를 쉽게 정리한 이야기입니다. 차근히 짚어보시길 바랄게요!

[준의 테크 노트]
MCP가 뭐길래?
AI 에이전트의 미래 쥔 MCP  
앤트로픽은 Model Context Protocol(MCP)의 정의를 아래와 같이 내리고 있습니다.

"MCP는 AI 어시스턴트를 콘텐츠 저장소, 비즈니스 도구, 개발 환경 등 데이터가 존재하는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한 새로운 표준이다. 이 표준의 목적은 최첨단 모델이 더 효과적이고 관련성 높은 응답을 생성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AI 에이전트들이 다양한 데이터, 도구 등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만든 통신 규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더 쉽게 설명하자면 마치 다양한 전자 기기들이 서로 쉽게 이어지기 위해 'USB-C' 라는 케이블로 표준이 정해진 것처럼, AI 에이전트들이 호출, 접근할 수 있는 다양한 데이터 및 서비스들을 이어 주는 규격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런 MCP는 크게 MCP 서버와 MCP 클라이언트로 구분됩니다. MCP 클라이언트는 AI 에이전트 쪽에서 온 요청을 이해하고, 이를 MCP 서버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MCP 서버는 실제 제공할 데이터 및 도구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면,

  1. 호텔 검색 서비스 기업이 AI 에이전트들이 자사의 서비스 및 데이터에 쉽게 접근하게 만들어 더 많은 예약을 창출하고 싶다면 MCP 서버를 만들어 공개 해두면 됩니다. 이들이 만든 MCP 서버는 호텔 검색, 예약 등의 기능을 호출할 수 있습니다.

  2. 이제 반대쪽, AI 에이전트를 만드는 회사에서는 자사의 에이전트가 더 많은 행동들을 하길 바라니, 호텔 검색 서비스의 MCP 서버와 자사의 에이전트를 연결하면 됩니다.

  3. 그러면 AI 에이전트는 오가는 데이터들이 규격에 맞는지 등에 신경 쓸 필요가 전혀 없이, 실제 사용자가 요청하는 " OO 호텔에 12월 빈 날짜 있는지 알아봐 줘" 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됩니다.
MCP Server A를 호텔 검색 서비스가 만들어 제공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미지: MCP 소개)
하지만 기존에도 각 서비스에서 공개한 API들을 직접 호출할 수도 있거나, 오픈AI에서 만든 '챗GPT 플러그인'과 같은 기능, 애플의 '앱 인텐트(App Intent)' 같은 기능들도 존재했습니다.

무엇이 MCP를 이들보다 더 인기 있게 만든 것일까요?

MCP가 중요한 이유, 규격화와 개방성
이전에도 쇼핑 서비스, 호텔 예약 서비스 등은 각각 자사의 서비스에서 구매, 예약할 수 있는 API들을 제공해 왔습니다. 심지어 AI 에이전트들이 쉽게 접근하는 것을 권장하기 위해 쉽게 만들기까지 했죠. 하지만 문제는 수많은 서비스들이 각각 모두 자신들의 기준에 맞추어 API를 제공했다는 것입니다.

AI 에이전트를 만드는 개발사 입장에선, 자신의 에이전트와 연결하고 싶은 서비스는 많은데 이들이 모두 미세하게 다른 인증 방식, 요청/요청 방식, 오류 처리 방식을 가지고 있으니 서비스에 연결할 때마다 골치가 아플 수밖에 없었습니다.

MCP는 이러한 문제를 '규격화'를 통해 해결한 것입니다. 각 서비스들이 MCP에 맞추어 MCP 서버를 한 번 만들어 두기만 하면, AI 에이전트 개발사에서는 어떤 서비스에 연결하더라도 동일한 규격, 인증 방식, 요청/응답 방식을 보장받게 되니, 매번 고민할 필요가 없어지는 것이죠.

두 번째는 '개방성'입니다. 앞서 언급한 챗GPT 플러그인은, 챗GPT가 특정 서비스의 기능을 호출할 수 있는 규격이었고, 애플의 앱 인텐트 또한 아이폰 시리(Siri)나 맥(Mac)의 스포트라이트 등에서 특정 서비스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규격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들은 개방성을 가지지 못했습니다. 챗GPT 플러그인 기능은 챗GPT를 활용한 AI 에이전트를 만드는 데만 쓰일 수 있었고, 애플의 앱 인텐트는 당연하게도 애플 앱 생태계에서만 쓰일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MCP는 원하는 누구든 접근하고 호출할 수 있습니다. 반대편에 있는 AI 에이전트가 챗GPT이던, 제미나이던, 클로드이던 상관 없이 말입니다.
.
.
.
구독하고 매일 받아 보세요!
새로운 시각의 글로벌 산업 뉴스레터
커피팟은 지금 가장 중요한 이슈를 분석해 '매일' 뉴스레터를 전해드리고 있습니다구독자분들이 지금 바로 이해하면 좋을 글로벌 산업 이슈의 맥락을 짚고, 해설을 합니다. 

새로운 시각의 글로벌 산업 이야기 내 메일함으로 꾸준히 받아보세요.


글쓴이: 준. O2O 스타트업에서 일했고, 현재는 글로벌 콘텐츠 회사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스타트업, 웹3, AI 등 새로운 기술이 바꾸어 나가는 세상의 모습에 관심이 큽니다.

[준의 테크 노트]는 테크 기업과 그들이 새로이 개발하는 기술과 현상에 대한 이야기를 전합니다.



커피팟 Coffeepot
good@coffeepot.me
© Coffeepot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