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험을 감지한 테크 기업들?

1. 테크와 거꾸로 가는 고용지표, 2. 이케아의 부진이 말하는 것
오늘은 위험을 감지한 테크 기업들과 간밤에 발표된 미국 고용 지표의 관계를 살펴보고요. 이케아의 실적을 통해 본 수요 감소 현황을 잠시 짚을게요.  

[테크] #고용지표 #실리콘밸리

1. 위험을 감지한 테크 기업들?

아마존마저 결국 본사 인력 고용을 멈추기로 했고, 대표적인 승차 공유 서비스인 리프트도 인력의 13%인 약 700여 명을 줄이는 구조조정에 들어가기로 했습니다. 가장 잘나가던 결제 시스템 기반 공룡 스타트업인 스트라이프도 전체 인력 중 14%인 1000여 명을 줄이기로 했고요. 이들 외에도 많은 테크 기업들이 현재 구조조정을 시작하고 있는 상황이에요. 

테크 업계 전체가 기존의 성장세가 줄어드는 상황이고, 앞으로의 경제 상황이 심상치 않게 변할 것이라고 예측되는 중인데요. 일각에서 보듯이, 경기가 안 좋아질 것을 대비하는 움직임을 테크 업계는 선제적으로 보여주는 것일까요? 아니면 오랫동안 큰 성장세를 이어온 테크도 이제 진짜 어려운 상황을 맞이한 것일까요?

테크 업계 상황이 많아 안 좋아 보이지만, 아직 전체적으로는 '구직' 보다는 '구인'이 많은 상황이에요.  

강한 고용 시장, 근데 테크는 왜?
간밤에 발표된 미국의 10월 고용 지표는 예상보다 좋게 나와 또 한 번 아직 경제 상황이 그리 나쁘지 않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기도 해요. 지난 9월에 비해서는 조금 떨어졌지만 26만 1000개의 일자리가 새로 마련되면서 기업들이 여전히 좋은 실적을 이어가고 있음이 나타났죠. 실업률은 예상보다는 조금 더 오른 3.7%를 기록했고요. 현재 계속 고용을 줄이는 테크 업계와는 상반된 모습이에요.

인플레이션을 잡겠다는 일념으로 미 연준이 또 한 번 기준금리를 0.75% 올리기도 한 상황이지만, 아직 낮은 실업률 등의 고용 지표는 인플레이션이 쉬이 잡히지 않을 것이라는 신호이기도 합니다. 경기 속도를 조절하려고 했던 이들의 계획은 (아직까지는) 뜻대로 될지 확신할 수 없는 상황이에요. (현재 시장에서는 금리 인상 페이스가 계속 유지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기도 하죠)

테크 업계의 주요 기업들이 경기 침체에 대한 위험을 감지하고 선제 대응에 나선 측면도 있지만, 미국 산업 전반에서 특정히 테크 업계의 고용은 전체 고용 인력의 작은 부분이에요. 제조업과 리테일 및 서비스업, 헬스케어 분야 등의 고용 지표가 강세를 띄고 있고, 이 분야들은 일할 사람을 구하지 못해서 어려움을 겪고 있기도 합니다. 지난 9월에는 구인건수가 무려 1070만에 이르렀고, (더 나은 직장을 찾으려는) 자발적 퇴사자 수도 그 수가 400만 명 이상을 매월 꾸준히 유지해왔죠. 

폭풍이 닥친 트위터까지 보면
일론 머스크가 점령한 트위터는 바로 어제를 시작으로 전체 7500여 명의 절반에 해당하는 인원의 해고를 시작했어요. (뉴욕타임스에 코멘트를 한 익명의 내부자들은 이미 3700여 명의 해고가 확정되었다고 알렸어요) 최근 발표된 테크 업계의 구조조정도 아직은 대부분 고용 지표에 반영되지 않았죠. 하지만 테크 업계의 인력은 보통 직장을 다시 상대적으로 쉽게 찾을 수 있는 인력으로 분석돼요.

현재 시장이 좋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제품 개발에 참여한 인력들이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은 많아요. 새로운 사업은 물론 기존 사업도 지금 디지털이 핵심이고 인력의 중심이 되어가고 있죠. 11월 고용지표에 테크 업계의 구조조정 상황이 반영이 된다고 하더라도 지표가 크게 악화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게 현재의 예상이에요.

관심이 집중되는 테크 업계의 현황과 구조조정 상황이 모두 주요 미디어의 헤드라인을 타지만, 실제 그 영향이 얼마나 반영되어 있는지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려워요. 그 이유는 테크 업계의 고용 데이터는 별도의 카테고리로 분류되지 않고, 핀테크면 금융, 이커머스면 리테일, 혹은 전문 비즈니스 서비스 등으로 퍼져서 반영되기 때문이에요. 현재 테크 업계 전체가 어떤 상황인지 정부가 발표하는 데이터에 따라서 파악하기가 어려운 것이죠.

그렇다면 무엇을 봐야 할까?
전체적인 고용 지표에 미치는 그 영향과는 별개로 일단 현재 대표적인 기업들이 시작한 구조조정이 보여주는 분위기를 살피는게 중요하다고 업계의 관계자들은 보고 있어요.


...


☕️ 샷 추가하시고 끝까지 읽어보세요!
샷 추가하시면 빅테크의 사업과 영향력, 지금 주목해야 할 가장 중요한 거시경제 이야기, 스타트업과 벤처캐피털 그리고 주목해야 할 새로운 분야의 이야기를 꾸준히 전해드려요. 어려운 이야기를 모두 쉽고 재밌게 깊이까지 챙기면서요!

📌 첫 달 50% 할인 중이에요.


☕️


good@coffeepot.me

© COFFEEPOT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