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말에 본 차트와 이야기

1. 인플레이션의 영향, 2. 빅테크의 광고 시장
주말 동안에도 인플레이션과 경기 침체 우려에 관한 이야기는 계속 쏟아졌는데요. 그 중 눈에 띈 이야기들을 전해드려요. 낙관론과 비관론이 계속 교차하는 가운데 점점 강해지는 신호들은 무엇인지를 살펴봤어요.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로 성장세가 조금 줄어들 전 세계 광고 시장은 빅테크의 비중이 점점 커질 것이라는 새로운 통계도 나왔는데요. 앞으로 숏폼 영상 경쟁이 더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돼요.

[국제경제] #경기침체우려 #금리인상
1. 아껴야 하는 시기가 왔다?
아직 경기 침체(Recession)에 들어서지는 않았지만 그 직전까지 왔다는 우려는 커진 상황이죠. 미 연준이 이번 주에 금리를 0.75%포인트 올렸고, 7월에도 같은 수치를 올릴 가능성이 큰 가운데 현재의 분위기는 경기 침체를 피할 수 없다는 것인데요. 물론 경기 침체에 빠질 것이라고 확정적으로 이야기할 수 있는 상황은 아직 아니라는 신중한 시각도 있지만, 신호는 점점 강해지고 있어요.
어떤 우유가 많이 디스플레이 되어있느냐에 따라서도 경기를 체감할 수 있죠.

2차 세계대전 이후 총 11년

뉴욕타임스의 비즈니스 에디터인 제프 소머(Jeff Sommer)는 매주 금융 시장과 경제에 관한 주간 칼럼을 쓰는데요. 최근 경기 침체기에 대한 흥미로운 통계를 소개하면서 미국 경제는 생각보다 자주 경기 침체기에 빠져있었다는 점을 짚었어요. ('베어(Bear) 마켓' 진입은 경제 활동의 급격한 둔화가 수개월 이상 이어지는 '경기 침체'의 전제가 되죠)

미국의 비영리 민간 연구 기관인 전미경제연구소(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rach)에 의하면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 경제는 14%, 즉 1945년부터 2020년 사이 약 11년의 기간을 경기 침체기에 빠져있었다는 것이에요. 각 경기 침체 기간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그 기간을 1년이라고 본다면 6~7년에 한 번은 꼭 경기 침체가 이어졌다는 계산을 할 수 있죠. 역사적으로 짚어보면 주기적으로 꼭 나타날 수밖에 없는 현상이기도 하고요. 참고로 전미경제연구소는 미국 경기 침체의 시작과 종료를 공식적으로 알리는 기관이에요.

기간을 확대하면 더 흔한 현상

제프 소머는 전미경제연구소에서 활용이 가능한 1854년부터의 데이터를 활용하면 미국이 경기 침체에 빠져있던 기간은 2020년까지 총 29%였다고 해요. 1, 2차 세계 대전 등이 포함된 이 기간은 당연히 경기 침체 기간이 길 수밖에 없지만 그만큼 경기 침체라는 것이 흔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었던 것이죠. 경제는 늘 경기 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크다는 것도 포함해서요.

물론 이 데이터가 경기 침체에 대해 중요한 함의를 가지지는 않아요. 하지만 역사적으로 봤을 때 필연적으로 올 수밖에 없는 것이 침체기인 것이고, 언제나 예측이 불가능했다는 것이에요. 신호가 오면 신호를 보고, 신호가 강해지면, 신호가 강해지는 대로 지켜보다가 대책을 마련하고, 다시 침체기에서 벗어나기 위해 애써온 것이 역사라는 것을 말하고 있죠.

CEO들은 이미 경기 침체를 예감

많은 기업의 대표들은 경기 침체를 기정사실화하고 있어요. 오늘 발표된 컨퍼런스 보드(Conference Board)라는 비즈니스 연구 기관이 지난 5월에 750명의 CEO 및 C-레벨 기업 임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60% 이상이 향후 12개월에서 18개월 안에 자신이 속해 있는 지역에서 경기 침체를 겪을 것이다라는 답변했어요. 


...


☕️ '샷 추가'하고 맥락을 이어가세요
샷 추가하시면 정기 뉴스레터 외에도 이번 NBA 우승팀인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는 어떻게 디즈니와 같은 콘텐츠 비즈니스를 만들려는지, 현재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에 스타트업들과 벤처캐피털은 어떻게 대응 하려는지 등 최근의 이야기들에 대한 깊은 맥락을 얻을 수 있고요. 소셜미디어 지형을 바꿀것 같았던 클럽하우스의 근황과 앞으로 어떻게 될지, 크리에이터 이코노미에 기반한 플랫폼의 미래는 어떨지 등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도 보실 수 있어요. 
 
📌 첫 달 50% 할인 행사 중이에요. 모든 뉴스레터 놓치지 말고 받아보세요!


☕️

good@coffeepot.me

© COFFEEPOT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