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샷 추가] ☕️☕️ 경쟁하며 성장하는 비즈니스 이야기

1. 줌과 세일즈포스, 2. 넷플릭스와 경쟁자들, 3. 펩시와 코카콜라
2021년 7월 23일 금요일

오늘은 팬데믹 기간 동안의 성장으로 세일즈포스와도 경쟁에 나설 정도로 성장한 줌의 이야기로 시작하고요. 확연히 떨어진 성장성과 이제는 커진 경쟁에도 아직은 걱정 없다는 넷플릭스, 그리고 2분기 실적은 둘 다 큰 성장을 했지만 더는 라이벌이라 부를 수 없는 펩시와 코카콜라의 이야기를 준비했어요.

[SaaS] #이제세일즈포스와경쟁?
1. 줌이 그린 큰 그림
이번 주에 줌은 클라우드 기반 콘택트 센터(혹은 콜센터)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제공하는 B2B 기업인 파이브나인(five9)을 인수하기로 했어요. 그리고 마침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한 세계 최대의 고객 관계 관리 플랫폼인 세일즈포스(Salesforce)도 슬랙(Slack)의 인수를 확정 지었죠. 세일즈포스가 슬랙을 인수하겠다고 나섰을 때부터 예견이 되었던 일이기도 하지만, 줌과 세일즈포스는 서로 다른 인수로 이제 기업용 소프트웨어 시장을 두고 더 큰 경쟁을 하는 사이가 되었는데요. 줌은 세일즈포스의 전략을 따라가면서 성장할 그림을 그리고 있어요.

커피팟 구독자님, 안녕하세요! :)

금요일의 뉴스레터는 커피팟에 '샷 추가하기'를 하면 전문을 받아보실 수 있어요(화요일의 뉴스레터는 무료입니다). 오늘 각 주제에 대한 [미리 보기]도 훑어보시고, 아래 버튼을 눌러서 유료 구독제인 '샷 추가하기'를 통해 추가로 어떤 콘텐츠를 받아보실 수 있는지도 확인해 보세요.

+ 참고로 본문의 초록색 글씨로 된 부분은 커피팟 콘텐츠의 링크입니다. 훑어보시면서 각 이야기와 연관된 내용, 그리고 그간 커피팟이 어떤 콘텐츠를 전해드렸는지도 확인해 보세요.

짧은 시간 안에 만든 부가 줌을 더 큰 포스로 이끌고 있어요.
조각조각 맞추어가는 그림
줌은 폭발적인 성장 모멘텀을 팬데믹 내 계속 이어왔어요. 많은 관심을 받으면서 데이터 유출 의혹과 각종 보안 이슈가 생겼던 초반의 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기능과 제품을 계속 출시하며 B2B 고객을 크게 늘려왔죠. (좋은 품질 유지로 무료 고객을 계속 유지하고 있기도 하고요) 이런 줌은 B2B SaaS(Software-as-a-Service) 시장에서 영역을 더 확대할 방법을 모색하고 있었는데요. 147억 달러(약 16조 8950억 원) 규모인 이번 파이브나인 인수는 줌이 고객들에게 새롭게 제안할 수 있는 상품이 되기도 해요. 또 앞으로 업무 협업 툴을 넘어 기업용 종합 CRM(고객 관계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나아가는 데 중요한 퍼즐 조각이고요.

줌은 이번 인수 외에도 서비스를 보완할 여러 스타트업도 인수해 왔어요. 사용자만 메시지를 읽을 수 있도록 해주는 엔드-투-엔드(End-to-end, 종단 간) 암호화 역량을 강화해줄 스타트업과 실시간 자동 번역 소프트웨어 기업을 인수하면서 서비스의 내실을 다져왔죠. 기업가치가 높아지면서 생기는 자금 여력을 사업을 확장하는 기업 인수로 계속 활용하고 있어요.

...
☕️ 물론 세일즈포스는 생각이 다를 테지만
277억 달러(약 31조 8660억 원) 규모의 슬랙 인수는 세일즈포스의 인수 중에서도 가장 큰 베팅이었어요. 이들은 기업용 업무 협업 툴 시장까지 영역을 넓혀 소프트웨어 시장의 더 큰 거인이 되겠다는 욕심을 내보인 것이죠. 앞으로 세일즈포스가 마이크로소프트 그리고 구글과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 시장에서의 더 큰 경쟁을 위해 나섰다고도 보고 있는데요. 독립적으로 운영될 슬랙과 시너지를 이루며 더 큰 확장을 해나갈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합니다.

[스트리밍] #실적은계속좋음
2. 넷플릭스는 계속 하락할까?
넷플릭스는 지난 2분기에 150만 명의 신규 구독자를 추가하는 데 그쳤다는(?) 실적을 발표했어요. 북미 지역에서는 오히려 구독자가 43만 명 가까이 감소하면서, 팬데믹이 이끌어 온 성장이 끝났다는 전망이 일제히 나오기도 했는데요. 넷플릭스는 예상되었다는 일이라면서 태연한 모습을 보였어요.

<기묘한 이야기> 같은 콘텐츠가 나와야 할 때라는 이야기가 많아요.
당장 실적이 흔들리는 건 아니고
넷플릭스의 성장성은 둔화하였지만, 이번에도 실적은 크게 성장했어요. 2분기 매출은 73억 4200만 달러(약 8조 4400억 원)를 기록하면서 작년 같은 기간 대비 19% 증가했고요. 순이익도 13억 5300만 달러(약 1조 5550억 원)로 작년 같은 기간 대비해 88% 증가했어요. 지난해 10월엔 가입 후 1개월 무료 프로모션을 없애기 시작했고, 미국을 비롯한 일부 지역에서 가격 인상을 하고, 계정 패스워드 공유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도 도입하며 실적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작업도 꾸준히 해왔죠. 연간 영업이익은 지난해 18.3% 기록하며 전년 대비해 크게 뛰었고, 올해도 20% 이상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해요.

블룸버그의 세컨드 메셔(Second Measure)에 의하면 지난 1월을 기준으로 6개월 리텐션율(Retention Rate)이 74%에 이르렀는데요. 이번에 북미 지역의 이탈이 컸지만, 다른 서비스에 비해 높은 리텐션율을 유지하고 있다고 주장했어요.

자체적인 인수 계획은 없고
...
☕️ 그래도 당장 문제는 역시 콘텐츠
이번 넷플릭스의 성장 둔화는 새로운 히트 콘텐츠가 부족했기 때문으로 풀이되기도 하는데요. 이는 디즈니+가 2분기에 새로운 마블 시리즈인 <팔콘과 윈터 솔져(The Falcon and the Winter Soldier)>와 <로키>를 내놓으면서 큰 부스트를 받은 것과도 맞물려요. 아마존 프라임과 애플 티비+도 최근 히트하는 오리지널 시리즈를 내놓으면서 주목을 받았고요. 경쟁사 대비해 눈에 띄는 히트작을 내놓지 못한 것도 원인이 될 수 있겠죠. 

+ 참고로 2분기 넷플릭스의 구독자 증가율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가장 높았어요. (넷플릭스는 실적 발표 시 지역별 지표는 북미(미국과 캐나다), 유럽/중동/아프리카, 중남미, 그리고 아시아태평양 지역 4곳으로 나누어 발표해요) 

[식음료] #라이벌이아닌라이벌
3. 벌어진 펩시와 코카콜라의 차이
식음료 업계의 두 거인은 팬데믹이 이어지는 동안 성장 곡선이 뚜렷하게 갈렸어요. 코카콜라는 2020년 매출(330억 달러)이 전년 대비해 9%나 하락하는 동안, 펩시는 매출이 4.8% 성장하며 사상 최대 매출(703억 7200만 달러)을 기록했죠. 최근 2분기 실적을 발표한 코카콜라도 다시 실적이 상승세를 탔지만, 펩시는 더 큰 성장을 만들며 이제 둘 간의 격차를 더 벌리고 있는데요. 이 둘의 결정적인 차이는 무엇일까요?

탄산음료의 경쟁은 이제 큰 의미가 없고요.
팬데믹 성적을 돌아보면요
  • 막혔던 코카콜라의 판매 통로: 사업 카테고리에서 음료 사업의 비중이 절대적인 코카콜라는 팬데믹이 이어지는 동안 실적이 크게 하락했어요. 매출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는 식당과 영화관, 놀이공원, 스포츠 경기장 등으로의 공급이 막혔기 때문이에요. 이제는 경제 활동이 거의 모두 정상화되어가는 미국 시장에서 판매가 반등하면서 지난 2분기의 실적은 크게 성장했는데요. 올해의 매출 성장률 예측치를 12~14%로 조정했어요. 하지만 이 수치도 작년에 하락한 매출을 고려하면 큰 성장이 예상된다고 단언할 수는 없는 수준이에요.
  • 다변화되어 있던 펩시의 사업: 펩시의 경우엔 방대한 스낵 포트폴리오가 콜라를 비롯한 음료 카테고리의 판매 하락을 만회하면서 지난해 또 사상 최대 실적을 이루어낼 수 있었어요. 코카콜라와 마찬가지로 음료 사업의 실적이 크게 하락했지만, 이를 스낵 사업이 다 만회했어요. 팬데믹이 이어지는 동안 CPG(Consumer Packaged Goods, 포장 소비재)의 판매가 많이 증가했고, 시리얼부터 각종 먹을거리를 갖춘 펩시의 방대한 카테고리의 덕을 톡톡히 봤죠. 펩시는 지난 2분기에 역시 전체 실적이 크게 성장했고, 음료 사업도 21% 성장했는데요. 올해 또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돼요.

더는 라이벌이 아니지만요
...
☕️ 또 하나의 대조점
다변화되지 않은 유통 채널, 디지털 전환 필요성 등 팬데믹이 드러낸 코카콜라의 약점은 이전부터 풀어야 할 문제로 지목되었지만, 큰 변화가 없는 상황인데요. 펩시가 D2C 실험도 진행하며 자체 판매 통로를 구축하려는 노력 등을 이어가고 있는 모습과 대조돼요.

오늘 커피팟은 어땠나요? 
모두 무더위 속에서 건강 관리 잘하시길 바랄게요!


good@coffeepot.me

© COFFEEPOT 2021